컴퓨터나 휴대폰을 많이 사용하는 세대라면 URL이라는 단어는 많이들 들어봤을겁니다.
URL좀 보내줘~, URL이 뭐야? 그 사이트 링크가 뭐야? 등등
개발자가 아닌 일반사람들도 URL이란 단어를 사용합니다.
단순히 웹페이지를 보여주는 링크개념이 아닌 개발자의 시선으로 본 URL은 어떤 개념일까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의 약자이며, 풀어서 해석하면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리소스의 위치를 알려주는 규약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링크(URL)를 타고 들어가면, 특정 웹페이지나 사진, 동영상들을 제공받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런 리소스들은 누가 가지고 있을 까요?
바로, 서버이죠.
URL이라는 규약을 통해서 우리는 서버의 리소스, 서비스를 제공 및 요청 할 수 있는겁니다.
그럼 간략하게 URL의 규약,문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URL문법
scheme:[//[user:password@]host[:port]][/]path[?query][#fragment]
URL은 위의 문법을 따릅니다. 예시로, http://www.somehost.com/a.gif 와 같은 URL이 있다면,
http : 프로토콜에 www.somehost.com 도메인에가면 a.gif 라는 이미지 리소스를 요청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같은 예로, 저희가 자주 사용하는 네이버에 들어가는 행위는 사실, 브라우저를 통해
https://www.naver.com/index.html 와 같은 URL을 가지고 웹페이지(HTML)을 요청을 하는 행위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인터넷상의 특정 호스트(도메인)가 가지고 있는 리소스를 요청하는 규약인 URL에 대해서 풀이해봤습니다.
다음에는 이러한 URL을 사용하는 REST 통신에 대해서 풀이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에 대하여(2) - HTTP의 특징 (0) | 2023.01.28 |
---|---|
HTTP에 대하여(1) - HTTP의 정의 (0) | 2023.01.16 |
DNS(Domain Name System)이란 무엇일까? (0) | 2020.07.26 |
PORT란 무엇일까? (0) | 2020.07.23 |
IP란 무엇일까? (0) | 2020.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