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네트워크

IP란 무엇일까?

오늘 알아볼 주제는 I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개발자가 아니여도 일반인에게도 익순한 단어일 것입니다.

 

1. IP(Internet Protocol)란 무엇일까?

 

흔히들 생각하는 IP는 아마도 192.111.222.333 와 같은 숫자 기호형태로 알고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위와 같은 숫자들은 IP Address(IP 주소) 라고 합니다.

 

그러면 IP주소가 아닌 IP, 인터넷 프로토콜이란 무엇일까요? 또, 프로토콜은 무엇일까요?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용어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프로토콜에 정의를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위의 정의를 인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P)를 풀어보면, 인터넷 상에서 통신하는 규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IP는 어떤 규칙를 가지고 인터넷 상에서 통신을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IP의 특징

 

인터넷 프로토콜은 비신뢰성과 비연결성인 특징이 있습니다.

- 비신뢰성 : 네트워크 흐름에 관여하지 않는다. 

즉, A라는 사람이 B에게 택배를 보내게 될 때, 택배의 내용물이 파기될 수도 있고, 사라질 수도 있고, 택배 순서가 보장이 안될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 비연결성 : 호스트 간의 통신에 연결을 맺지 않는다.

즉, A라는 사람이 B에게 정보를 보낼 때, 휴대폰이나 전화기처럼 두 사람 사이를 연결해주는게 아니라,

단순히 정보 전달만 한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특징점들(비신뢰성, 비연결성)을 신뢰성있고 연결지향 프로토콜로 바꾸기 위해선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 TCP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TCP에 대한 내용은 다음에...

 

위의 2가지 특징들이 IP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때, A라는 사람의 위치를 IP주소라고 명칭합니다. 

 

 

3. IP Address (IP 주소)

 

IP주소는 위의 글처럼 특정 통신 장비(호스트, 컴퓨터)의 주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IP주소도 크게 내부IP와 외부IP로 나뉠 수 있습니다.

 

내부IP는 현재 내부망에서 할당받은 IP 주소이며, 192.168 으로 시작하는 IP주소입니다.

외부IP는 내부망이 아닌 인터넷망에서 사용되는 IP 주소이며, 네이버에서 "내 IP 주소 확인" 이라고 치면 나오는 걸 말합니다.

 

따라서, 내부망에 있는 호스트간의 통신을 한다면 내부IP만 가지고도 통신이 가능하고,

외부망에 있는 호스트와 통신을 위해서면 외부IP까지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정리하자면,

호스트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각각의 호스트들은 고유의 IP Address를 할당받으며, 

할당받은 IP Address로 인터넷 프로토콜(IP)를 통해 정보 전달이 가능합니다.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에 대하여(2) - HTTP의 특징  (0) 2023.01.28
HTTP에 대하여(1) - HTTP의 정의  (0) 2023.01.16
URL 용어정리해보자.  (0) 2020.08.02
DNS(Domain Name System)이란 무엇일까?  (0) 2020.07.26
PORT란 무엇일까?  (0) 2020.07.23